신증후성 출혈열(유행성 출혈열)원인에 관하여 포스팅을 시작하겠습니다. 필자가 오늘 성묘하러 가는데요, 벌초할때 잔디를깎기때문에 조금더 경각심을 갖고 조심하고자 포스팅을 하게 되었습니다. 유행성출혈열은 쉽게 말해서 들쥐병 입니다.
급성으로 발열, 요통과 출혈, 신부전을 초래하는 사람과 동물 모두에게 감염되는 바이러스 감염증입니다. 들쥐의 72~90%를 차지하는 등줄쥐 의 배설물이 건조되면서 호흡기를 통하여 원인 바이러스가 전파됩니다. 현재까지 감염 환자로부터 다른 사람으로 바이러스가 전파되어 환자가 발생하였다는 보고는 없습니다.
바이러스는 1년 내내 발병이 있지만 특히 늦가을 10월~11월 과 늦봄5~6월 건조기에 많이 발생합니다. 야외활동이 많아 바이러스에 노출될 기회가 많은 젊은 연령층 남자에게서 잘 발병합니다. 남성대 여성 환자 비율은 2:1입니다. 유행성 출혈열을 일으키는 한탄바이러스(Hantaan virus)는 분야 바이러스과(Bunyaviridae), 한탄바이러스속(Hantavirus genus)에 속합니다. 한탄 바이러스 속에 속하는 종(species)으로는 한탄바이러스 외에도 도시형 출혈열의 원인 병원체인 서울 바이러스(Seoul virus), 스칸디나비아(Scandinavia)형 출혈열의 원인 병원체인 푸말라 바이러스(puumula virus) 미국에서 분리되며 비병원성인 프로스펙트힐 바이러스(Prospect Hill virus)가 있다고 합니다. 한탄 바이러스 입자는 크기가 120nm이고, 원형 또는 타원형의 모양을 갖고 있으며 물리적, 화학적 성질은 분야 바이러스과에 속하는 다른 바이러스와 비슷하다고 합니다.
이전에는 국내에서 발생하는 출혈열은 모두 한탄 바이러스에 의해 발생한다고 생각하였지만 최근에는 환자로부터 야외형의 한탄 바이러스와 구분되는 도시형 서울 바이러스가 분리 검출된 바가 있다고 합니다.
유행성 출혈열의 증상은 5일 안팎의 고열 과 그 뒤를 이어 단백뇨나 전신성의 출혈 경향 등이 나타납니다. 바이러스 쥐들의 대변, 소변과 침에서 많이 나와 한탄 바이러스나 서울 바이러스를 포함하는 분비물이 건조된 후 공기중에 떠돌아 다니다가 호흡기를 통해 다른 쥐나 사람에게도 질병이 전파되며 사람과 사람사이의 접촉에는 병이 전파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잠복기는 2~3주가 보통이고, 감염된 사람의 3분의1정도에서 증세를 보인다고 합니다. 이들 환자의 절반 가량은 중증 증상을 보여서 치사율은 2~3%에 이른다고 합니다. 발열기, 저혈압기, 핍뇨기(Oliguric Phase), 이뇨기, 회복기를 거칩니다. 발열기에 오한, 근육통, 두통, 현기증이 있으며, 심하게 허리가 아프거나 구역, 구토 심한 복통으로 장염이나 맹장염으로 오진되는 경우도 있다고 합니다. 햇빛에 탄 듯한 피부홍조가 뺨, 목, 어깨, 가슴, 등 에 생겨 있는지, 결막이 충혈되어 있는지, 겨드랑이, 가슴, 목, 얼굴, 연구개에 점상 출혈이 있는지를 살펴봐야 합니다.
세계 최초로 동두천 지역에서 잡은 등들쥐에서 발견하여 한탄강의 이름을 땄으며 서울바이러스도 이호왕 박사가 1980년 서울 서대문구에서
잡은 집쥐에서 제2의 병원체를 발견하여 명명한 것으로 한국에서 최초로 발견된 미생물입니다.
질병 자체는 자연호전되는 경과를 보이지만, 경과 중에 발생하는 신부전, 폐부종 등은 치명적일수 있다고 합니다.
쥐의 소변과 타액 중에는 다량의 바이러스가 함유되어 있는데, 배설물에 오염된 먼지가 사람의 호흡기를 통해 들어오면 전염이 된다고합니다.
이 병의 초기 증세가 독감과 비슷하여 착각하기 쉬운데 40도가 넘는고열이 해열제를 먹어도 체온이 내려가지 않으면 병원으로 바로 가셔야 됩니다. 치유시기를 놓치면 생명도 위험하지만 정상으로 회복하기까지 많은 날들을 소비하여야 합니다. 최근에는 유행성출혈열이 임상 경과가 다양하게 나타나므로 병의 지속 기간이나 심각성, 치료 결과 등의 예측이 다양하다고 합니다. 유행성 출혈열의 발생 초기 시절에는 사망자가 많았고 중증 환자도 많았지만 최근에는 감염 빈도가 많이 감소하는 추세이고 증상의 심각한 정도도 훨씬 약해졌기 때문에 과거와 같은 높은 사망률은 보이지 않고, 유행성 출혈열이 걸렸던 사람같은경우는 항체가 생겼기 때문에 이 항체는 수십년 후까지 유지 되므로 재감염되지 않는다고 합니다.
유행성 출혈열은 예방접종이 있기때문에 예방주사를 접종하시면 됩니다. 한달 간격으로 백신을 2번 피하에 접종하게 되면 약 1년간 면역효과가 있으며, 1년후에 재접종하면 한탄 바이러스와 서울 바이러스에 대한 면역은 평생 유지 된다고 합니다. 유행성 출혈열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병에걸릴 확률이 많은 지역에는 가지 않는것이 최선의 방법입니다. 그 예를들면 유행 지역의 산이나 풀밭에 가는 것을 피해야 합니다. 특히 늦가을(10~11월)과 늑봄(5~6월)의 건조기는 절대 잔디위에 눕거나 잠을 자지 말아야 합니다. 또 잔디 위에 침구나 옷을 말리시면 않되고 들쥐의 배설물에 접촉되지 않도롟 주의하셔야 합니다. 야외 활동후 귀가 시에는 옷에 묻은 먼지를 털고 샤워를 하셔야 합니다. 당연히 기본적으로 가능한 한 피부의 노출을 적게 하는것이 좋습니다. 실내에서 주로 생활을 하는분들 보다는 감염 위험이 높은 사람(농부,군인)은 적기에 예방접종을 맞으시는게 좋습니다. 쥐를 잡으면 방역사업적으로 도움을 주지만, 감염원인 들쥐를 전멸 시키는것은 사실상 불가능 합니다.
감염위험이 높은 사람은 예방접종을 하시고, 예방수칙을 잘지켜서 유행성출혈열 예방에 힘씁시다.
'건강관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자파 종류 및 나쁜점 전자파 차단방법 (1) | 2017.09.11 |
---|---|
기업직장인 건강검진 해당자 & 금식시간 과 건강에 정의 (0) | 2017.09.11 |
혈액순환이 안되면 (0) | 2017.09.09 |
만성편도선염증상 (0) | 2017.09.09 |
중국 미세먼지 대책 (0) | 2017.09.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