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날 차례상 차리는방법
안녕하세요 조금있으면 온가족이 함께모이는 한국 고유의 명절 설이 다가옵니다.
설날당일에는 한해의 시작과 함께 조상들에게 차례를 지내게됩니다.
설날 차례상 차리는 방법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차례란 음력 매달 초하룻날과 보름날, 명절날, 조상 생일 등의 낮에 지내는 제사를 말합니다.
호남지방과, 영남 지방에서는 차사 라고 도 합니다.
차례는 원래 다례 라고 하여 문자 그대로 다 를 행할때의 모든 예의범절을 뜻하는 말이엇으나,
지금은 다례라 하면 옛날 궁중의 다례나 불교의 다례 등을 뜻하는 말이 되었습니다.
차례는 명절에 지내는 속절제 라고 합니다.
차례상 차리는 방법은?
필자같은경우도 제사를 지내고 있지만 일년에 몇번 치르지 않는 집안 행사기 때문에
명절마다 어떻게 차례상을 차려야 하는지 헷갈릴때가 많은거 같습니다.
하지만 천천히 차례상 차리는 방법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설 차례의 의미를 알아보겠습니다.
아까 처음에 말씀드렸는데 차례는 옛날에는 다례 혹은 차사라 부른다고 했지만
지금은 속절제라고 말한다고 했습니다.
차례상 차리는 방법은 각 지방마다 다르고 각 가문의 전통에 따라서 조금씩
다릅니다. 하지만 기본적인 차례상에 올리는 음식은 비슷합니다.
차례상은 조상님이 생전에 좋아하던 잘드셨던 음식을 정성스럽게 준비하셔서
감사한 마음으로 차리시면 됩니다.
차례 음식은 양념이 없는게 특징입니다.
귀신을 쫒는다고 하여 마늘 고춧가루와 양념을 사용하지 않는답니다.
꽁치,삼치 등 치가 들어간 생선과 잉어와 붕어 비닐이 억센 생선도
차례상(제사상)에 올라가지 않습니다.
설날 차례상 차리는 방법
1열은 시접(수저를 담아놓은 놋그 릅), 잔반(술잔, 받침대)을 놓고 떡국을 올립니다.
지역에 따라서 밥(메), 숭늉을 올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리고 설날(명절)은 때에 따라서 송편을 올리기도 합니다.
좌반우갱: 좌측에는 밥, 우측에는 국을 올리면 됩니다.
2열은 주 요리가 되는 전(기름에 부친것,)육적(고기 구운것), 어적(생선 구운것) 등을 올리면 됩니다.
지역에 따라서 2열에는 떡, 간장, 면, 탕을 올리는 경우도 있습니다.
3열에는 육탕(육류), 소탕(두부,채소류), 어탕(어패류) 등 탕류를 올려 놓습니다.
3열의 특징은 양쪽으로 촛대를 올립니다.
어동육서:동쪽에는 생선, 서쪽에는 육류를 올린다는 뜻입니다.
4열에는 김치, 포, 나물, 간장, 식혜가 올라갑니다.
지역에 따라서 포, 식혜는 3열 또는 4열에 올라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서포동해: 서쪽에는 포, 동쪽에는 생선젓 과 식혜를 올린다는 뜻입니다.
좌포우혜: 좌측에는 포, 우측에는 식혜를 올린다는 뜻입니다.
숙서생동: 서쪽에는 익힌나물, 동쪽에는 생김치를 올린다는 뜻입니다.
5열에는 과자, 과일 등 후식에 해당하는 음식을 올려놓습니다.
과일류가 진설되고 대추, 밤, 배, 사과, 한과류를 올립니다.
조율이시: 왼쪽부터 대추, 밤, 배, 곶감 순으로 놓습니다.
홍동백서: 붉은 과일은 동쪽, 흰 과일은 서쪽에 놓습니다.
설날 차례상을 차릴때 지역이나 풍습에 따라서 조금씩의 차이는 있지만
조상을 섬기고 감사하는 마음으로 차례상을 차리고, 오랜만에
오순도순 모여서 행복하게 설 연휴를 가족들과 보낸다면
설날 차례상 차리는 방법을 잘몰라도 뜻깊은 설 연휴를 보낼수 있을 것 같습니다.
'꿀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동서울 터미널에서 가평가는 시외버스 시간표 & 요금 (0) | 2018.05.02 |
---|---|
어린이날유래 축제 정보 미리 알아보기 (0) | 2018.05.02 |
식품별 유통기한(소비기한)알아보자 (0) | 2018.02.08 |
서울 지하철 정기권(지하철 요금절약) (0) | 2018.02.07 |
문콕방지법(주차장폭 확대) (0) | 2018.02.04 |